소셜 미디어 환경
덴마크의 미디어 전문가인 토마스 백달(Thomas Baekdal)은 그의 저서 <이동 (Shift)>에서 ‘소셜미디어가 전통미디어를 역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그 주장은 이제 현실이 되었습니다. 소비자는 영리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유연하기도 합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취하지만 동시에 몇 명의 강력한 인플루언서들의 발언에 마음을 빼앗깁니다. 이렇듯,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내가 원하는 것을 추구한다고 착각하기도 합니다. 즉, 소셜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일은 소비자들을 이해하는 것이고 동시에 활용하는 일이 됩니다.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현대의 마케팅 환경에서는 소비자가 특정 매체에 얼마나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있는지 - 페이지에 머무르는 정도, 하루에 특정 페이지나 관련 페이지에 접속하는 횟수, 구매 행동에 걸리는 시간 등 - 을 파악해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소셜 미디어 트렌드
먼저, 소셜 미디어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논해 볼 것입니다. Influencer Marketing Hub에 따르면 2020년의 소셜 미디어 트렌드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세 사라지는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유행할 것이다. 현 소비자들의 집중력은 짧고, 즉각적인 반응과 결과를 추구합니다. 단시간에 사라지는 인스타그램의 Daily Stories’ 기능 사용자가 2016년 10월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는 사실은 이를 잘 대변합니다.
2. 니치 플랫폼은 성장할 것이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경우 오랜 기간 소셜 네트워크의 장을 지배해왔습니다. 하지만, TikTok이나 Linkedin과 같은 니치 플랫폼의 증가세 또한 두드러지는 것이 현 상황입니다.
3. 인스타그램은 ‘Like’ 기능을 없앨 것이다. 인스타그램은 최근 베타 서버에 Like 기능 삭제를 실험해 보았습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Like 기능이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지만, 사실은 기업들로 하여금 Instagram Ads 이용을 촉진시켜 이윤을 증대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4. 소셜 커머스는 확대될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리테일 플랫폼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지속될 것이며,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리테일 채널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5. 비디오 컨텐츠는 커머스 환경을 지배할 것이다. TikTok나 Youtube의 이용자 수와 증가 추세로 미루어 보았을 때, 비디오 컨텐츠가 소셜 미디어의 미래가 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합니다. Cisco는 2022년에는 82%에 달하는 온라인 컨텐츠가 비디오 컨텐츠가 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비디오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적극적으로 비디오 컨텐츠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기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 마케팅의 지향점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소셜 미디어 데이터 활용을 포기하게 된다면,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은 상당합니다.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소비자와의 관계로 포기하게 됩니다. 최악에 상황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마저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바로 데이터 기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는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듣게 해줍니다. 무엇이 충분하고 무엇이 모자른지 알려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줍니다. 기업은 먼저 마케팅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에 맞는 KPI를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목표에 맞는 소셜 데이터 활용 방식이 존재합니다. 먼저, 기업의 목표가 브랜드 이미지 상승 전략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때는 단순히 Instagram에서 얼마나 많은 언급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질문은 무의미합니다. 양보다는 질이 더 중요합니다. 즉, 사람들이 브랜드에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는 일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Mention이나 Kissmetrics와 같은 툴들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도 단순하고, 조작법도 까다롭지 않아서 초심자들도 얼마든지 유의미한 정보를 얻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Mention을 통해서 브랜드 호감도나 브랜드 영향력과 같은 정보를 간단한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Kissmetrics의 경우는 전반적인 Customer Journey를 쫓을 수 있게 돕습니다. 소비자들이 어떤 경로로 유입되었는지, 구매 행위를 실제로 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특정 페이지에 머물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친절하게 제시합니다.

마무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들은 자신을 위한 소비와 일면 자신을 위한 듯 보이지만 타인을 의식한 소비를 동시에 실현합니다. 그리고, 과거보다 더 오래 더 많이 소셜 미디어를 접하고, 이해하고, 활용합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서 마케팅 전략을 고민하는 기업 혹은 개인 모두 소셜 미디어 메시지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전략을 도출한다면 기업 스스로의 만족 그리고 고객 만족,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참조:
-How to use social data analytics to inform your marketing strategy,
https://www.pixlee.com/blog/how-to-use-social-data-analytics-to-inform-your-marketing-strategy/ (Pixlee)
-How to start a data-driven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y,
https://mention.com/en/blog/data-driven-social-media-marketing-strategy/ (Mention)
-Data-driven social media marketing,
https://businessdegrees.uab.edu/blog/data-driven-social-media-marketing/ (The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Social media trends for 2020 and beyond,
https://influencermarketinghub.com/social-media-trends/ (Influencer Marketing Hub)
-최영택, 김상훈 (2013)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한 기업의 PR 활동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및 기업 특성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3, 37-76
-추정완 (2019).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이용한 마케팅(Marketing)에 대한 윤리적 고찰. 도덕 교육연구, 31(4), 167-189
소셜 미디어 환경
덴마크의 미디어 전문가인 토마스 백달(Thomas Baekdal)은 그의 저서 <이동 (Shift)>에서 ‘소셜미디어가 전통미디어를 역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그 주장은 이제 현실이 되었습니다. 소비자는 영리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유연하기도 합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취하지만 동시에 몇 명의 강력한 인플루언서들의 발언에 마음을 빼앗깁니다. 이렇듯,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내가 원하는 것을 추구한다고 착각하기도 합니다. 즉, 소셜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일은 소비자들을 이해하는 것이고 동시에 활용하는 일이 됩니다.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현대의 마케팅 환경에서는 소비자가 특정 매체에 얼마나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있는지 - 페이지에 머무르는 정도, 하루에 특정 페이지나 관련 페이지에 접속하는 횟수, 구매 행동에 걸리는 시간 등 - 을 파악해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소셜 미디어 트렌드
먼저, 소셜 미디어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논해 볼 것입니다. Influencer Marketing Hub에 따르면 2020년의 소셜 미디어 트렌드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세 사라지는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유행할 것이다. 현 소비자들의 집중력은 짧고, 즉각적인 반응과 결과를 추구합니다. 단시간에 사라지는 인스타그램의 Daily Stories’ 기능 사용자가 2016년 10월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는 사실은 이를 잘 대변합니다.
2. 니치 플랫폼은 성장할 것이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경우 오랜 기간 소셜 네트워크의 장을 지배해왔습니다. 하지만, TikTok이나 Linkedin과 같은 니치 플랫폼의 증가세 또한 두드러지는 것이 현 상황입니다.
3. 인스타그램은 ‘Like’ 기능을 없앨 것이다. 인스타그램은 최근 베타 서버에 Like 기능 삭제를 실험해 보았습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Like 기능이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지만, 사실은 기업들로 하여금 Instagram Ads 이용을 촉진시켜 이윤을 증대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4. 소셜 커머스는 확대될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리테일 플랫폼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지속될 것이며,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리테일 채널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5. 비디오 컨텐츠는 커머스 환경을 지배할 것이다. TikTok나 Youtube의 이용자 수와 증가 추세로 미루어 보았을 때, 비디오 컨텐츠가 소셜 미디어의 미래가 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합니다. Cisco는 2022년에는 82%에 달하는 온라인 컨텐츠가 비디오 컨텐츠가 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비디오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적극적으로 비디오 컨텐츠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기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 마케팅의 지향점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소셜 미디어 데이터 활용을 포기하게 된다면,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은 상당합니다.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소비자와의 관계로 포기하게 됩니다. 최악에 상황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마저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바로 데이터 기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는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듣게 해줍니다. 무엇이 충분하고 무엇이 모자른지 알려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줍니다. 기업은 먼저 마케팅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에 맞는 KPI를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목표에 맞는 소셜 데이터 활용 방식이 존재합니다. 먼저, 기업의 목표가 브랜드 이미지 상승 전략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때는 단순히 Instagram에서 얼마나 많은 언급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질문은 무의미합니다. 양보다는 질이 더 중요합니다. 즉, 사람들이 브랜드에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는 일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Mention이나 Kissmetrics와 같은 툴들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도 단순하고, 조작법도 까다롭지 않아서 초심자들도 얼마든지 유의미한 정보를 얻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Mention을 통해서 브랜드 호감도나 브랜드 영향력과 같은 정보를 간단한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Kissmetrics의 경우는 전반적인 Customer Journey를 쫓을 수 있게 돕습니다. 소비자들이 어떤 경로로 유입되었는지, 구매 행위를 실제로 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특정 페이지에 머물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친절하게 제시합니다.
마무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들은 자신을 위한 소비와 일면 자신을 위한 듯 보이지만 타인을 의식한 소비를 동시에 실현합니다. 그리고, 과거보다 더 오래 더 많이 소셜 미디어를 접하고, 이해하고, 활용합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서 마케팅 전략을 고민하는 기업 혹은 개인 모두 소셜 미디어 메시지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전략을 도출한다면 기업 스스로의 만족 그리고 고객 만족,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참조:
-How to use social data analytics to inform your marketing strategy,
https://www.pixlee.com/blog/how-to-use-social-data-analytics-to-inform-your-marketing-strategy/ (Pixlee)
-How to start a data-driven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y,
https://mention.com/en/blog/data-driven-social-media-marketing-strategy/ (Mention)
-Data-driven social media marketing,
https://businessdegrees.uab.edu/blog/data-driven-social-media-marketing/ (The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Social media trends for 2020 and beyond,
https://influencermarketinghub.com/social-media-trends/ (Influencer Marketing Hub)
-최영택, 김상훈 (2013)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한 기업의 PR 활동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및 기업 특성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3, 37-76
-추정완 (2019).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이용한 마케팅(Marketing)에 대한 윤리적 고찰. 도덕 교육연구, 31(4), 167-189